밀가루 기기분석 (파리노그래프, 아밀로그래프, 익스텐스 그래프))

밀가루 기기분석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밀가루는 크게 이화학적분석, 그래프적분석 두가지 분석방법이 있습니다.

밀가루 기기분석

이전 포스팅에서는 이화학적분석법을 다뤘습니다. 이번에는 그래프적, 기기분석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밀가루 기기분석

파리노그래프(Farino Graph)

파리노그래프
출처 : AACC International Method 54-21.02

밀가루를 물과 계속 반줄할 때 생기는 점성 저항의 변화를 측정하는 기기로 일정한 굳기의 반죽을 얻는데 필요한 흡수율, 반죽의 형성시간, 반죽의 힘 및 내구력 등을 알 수 있습니다.

흡수율

  • 일정한 굳기(Consistency)의 반죽을 얻는데 필요한 가수량을 밀가루 시료에 대한 비율.
  • 흡수율은 주로 단백질 함량이 많을수록 높으며 손상전분이 많을 시에도 증가.
  • 강력분의 경우 흡수율이 높고 박력분은 반대로 흡수율이 낮음.

반죽 형성시간

  • 물을 첨가함 시점부터 최대 저항 영역에서 약화가 시작되기 직전까지의 시간 간격입니다. 이 값은 피크라고 불립니다.
  • 강력분의 경우 생성시간이 길고 박력분은 반대로 짧습니다.

아밀로그래프(Amylo Graph)

아밀로그래프
출처 : https://www.nexus-analytics.com.my/product/amylograph-e/

아밀로 그래프는 주로 밀가루의 전분 질을 평가하고, 식품 가공 공정에서의 제품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밀가루의 경우 영향을 주는 인자로서는 전분의 함량, 질 및 아밀라제의 활성도 입니다.

일반적으로 같은 제품 중 효소 활성도가 크게 되면 최고 점도가 낮아집니다.

참고사항

밀가루 고급분(회분이 ↓)이 최고 점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통밀가루는 최고 점도가 낮고 밀가루보다 더 빨리 젤라틴화됩니다. 이것은 통밀가루의 경우 비교적 높은 효소 활성 때문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진품고급면용, 프리미엄생면용의 경우 최고점도가 높아 중식당, 우동등 쫄깃한 면에 사용하기에 좋은 밀가루 입니다.


익스텐소 그래프

  • 밀가루 반죽을 잡아 당겨서 신장력 및 신장저항을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 반죽이 지니는 힘의 크기와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여 2차 가공 시 발효조작의 기준을 판정하는데 활용됩니다.
  • 일반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많은 강력분 일수록 신장 저항력과 면적이 큽니다.
익스텐소 그래프
출처 : https://bakerpedia.com/processes/extensograph/

 

위의 사진은 강한 글루텐 반죽과 약한 글루텐 반죽을 비교한 사진입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밀가루 원료 밀(소맥)의 종류

쌀벌레 화랑곡나방 원인, 예방, 퇴치방법

 

How useful was this post?

Click on a star to rate it!

Average rating 0 / 5. Vote count: 0

No votes so far! Be the first to rate this post.